본문 바로가기
* 각종 카드 정보 *

증여세율 계산법, 6억 집 증여 시 시뮬레이션

by 팔팔한 곰돌이 정 2025. 4. 26.
반응형

결혼하거나 집을 사줄 때 자녀에게 돈을 주면 ‘증여세’ 대상이 됩니다. 증여세율과 누진공제 개념을 정확히 알면 억대 증여도 전략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집값 6억, 증여세 2억? 계산방식이 이렇게 다릅니다

막연히 "6억 증여하면 세금 2억 나와요"라는 말.
사실이긴 하지만, 조건이 정확히 맞아야 가능한 이야기입니다.

 

실제로는 증여 금액에 따라 누진공제라는 게 붙어서 세금이 줄어듭니다.
직접 계산해보면 훨씬 이해가 쉬워요.


증여세율 질문 지식인
증여세율 질문 지식인

증여세율, 누진공제표를 먼저 이해하세요

증여세는 구간별로 다르게 매겨집니다.
마치 소득세처럼 ‘누진세’ 방식이에요.

증여 금액세율누진공제

 

1억 이하 10% 0원
5억 이하 20% 1,000만원
10억 이하 30% 6,000만원
30억 이하 40% 1억 6,000만원
30억 초과 50% 4억 6,000만원

실제 예시로 증여세 계산해봅니다 (6억원 증여 시)

반응형

자녀에게 6억 원짜리 집을 증여했다면?


6억은 10억 이하 구간에 해당합니다.

  • 세율 30% 적용
  • 누진공제 6,000만원 적용

세금 계산 방식은 이렇습니다.

6억 × 30% = 1억 8천만 원 18천만 원 - 6천만 원(누진공제) = 12천만 원

최종 증여세: 약 1억 2천만 원


증여세율과 누진공제 이해하기
증여세율과 누진공제 이해하기

결혼 후 1억 5천만 원 증여, 1년 뒤 또 1억 줄 경우?

이런 경우가 흔합니다.
결혼자금 1억 5천만 원은 비과세 한도에 해당해서 증여세가 없습니다.

 

하지만 1년 뒤 1억 원을 더 증여하면?
합산 기준이 적용됩니다.

  • 결혼공제 1억 5천만 원은 비과세
  • 1억 원은 증여세 과세 대상

자녀에게 성인 기준 5천만 원까지는 비과세.
따라서 나머지 5천만 원에 대해서만 세금이 부과됩니다.

5천만 원 × 10% = 500만 원 누진공제 없음

결론: 약 500만 원 증여세 발생


증여세율 계산 어렵지 않게 정리해드립니다

반응형

이런 방식으로 증여세를 계산하세요

  1. 비과세 한도 먼저 확인 (성인자녀: 5천만 원)
  2. 증여금액에서 비과세 한도 빼기
  3. 남은 금액에 세율 적용
  4. 누진공제로 차감

증여세 계산 예시 6억원 증여
증여세 계산 예시 6억원 증여

증여세 신고와 납부는 언제까지?

  • 신고 기한: 증여받은 달의 말일로부터 3개월 이내
  • 신고 방식: 홈택스 또는 세무서 방문
  • 납부 방식: 일시납 또는 연부연납 가능

홈택스에서 간편하게 신고할 수 있어요.
👉 국세청 홈택스 바로가기


증여세율 많이 하는 질문들

증여세는 얼마부터 내야 하나요?
성인은 5천만 원 초과부터 납부 대상입니다.

 

부부 공동명의로 증여하면 절세되나요?
공동명의여도 실질 증여자가 명확하면 절세 안 됩니다.

 

집값이 오르기 전에 증여하는 게 유리한가요?
통상적으로는 시세가 낮을 때 증여가 유리합니다.

 

현금 증여와 부동산 증여, 세금이 다르나요?
과세 기준은 동일하지만, 부동산은 평가 방식이 달라집니다.

 

증여 후 바로 팔면 불이익 있나요?
단기간 매도 시 양도세와 이중 과세 주의해야 합니다.


증여세율은 누진공제를 함께 봐야 정확합니다

증여세율은 단순 퍼센트 계산이 아닙니다.
누진공제까지 감안해야 실제 세금이 산출됩니다.
억단위 증여 전에는 꼭 시뮬레이션이 필요합니다.

반응형